전공소개
임상병리과는 질병의 예방 · 진단 · 치료 및 예후 등에 관한 실무지식을 갖춘 임상병리사를 양성하는 미래지향적인 첨단 학과이다. 임상병리과에서는 혈액검사나 체액검사, 세포 조직검사 등 각종 이화화적 검사를 수행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을 위한 결과를 제공 할 수 있도록 현장 실무형 교육을 강화하고, 분자생물학, 세포유전학, 산업의학 등 미래 새로운 검사 의학에 대비한 유능한 임상병리사를 양성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삼고 있다.
졸업후진로
대학병원, 종합병원, 한방병원, 의원의 진단검사의학과(임상병리과) 및 해부병리과(조직병리, 세포병리 등), 보건직공무원(보건소, 검역소, 보건연구소 등), 정부산하 협회 및 종합검진센터, 암센터, 핵의학과 및 연구실(대학의 기초의학연구소, 종합병원의 기초의학, 임상의학 연구소 및 생명공학 관련 연구소 등), 진단시약 및 의료기기회사
취득가능한 자격증
임상병리사 | 임상병리검사학에 관한 학문을 전공한 후 취득하는 면허 |
---|---|
세포병리사 | 임상병리사 면허증을 소지한자로서 해부병리전문의가 상주하는 의료기관으로서 조직, 세포분야 3년이상 근무한 임상병리사가 취득할 수 있는 국제적인 면허 |
방사선동위원소 | 취급자면허전문대학(이공계), 이공계열 4년제 대학졸업자 또는 기사2급 이상 인자(방사성동위원소 취급분야의 실무경력 1년 또는 한국 방사성동위원소 협회에서 실시하는 통신교육과정 수료자) |
ASCPi | American Society for Clinical Pathology international (ASCPi) 미국임상병리사 자격인증, 졸업 후 MLT(Medical Laboratory Technician)시험응시 |
입학담당 교수
서충원 TEL: (051) 860-3523, E-MAIL: seo3711@dit.ac.kr