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 5년 동안 중증 응급환자의 적정 시간 내 응급실 미도착률 5%p 증가 ... ‘중증외상환자는 8%p 증가
심각한 문제는 응급실을 찾지 못해 사망한 대구 10대 응급환자와 같이 중증 응급환자 중 적정 시간 내에 응급실에 도착하지
못하는 환자 비율이 증가하는 것인데, 실제로 전체 중증 응급환자 중 적정 시간 내 응급실 미도착 환자 비율이 2018년 47.2%에서
2022년에는 52.1%로 약 5%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.
중증 응급환자의 질병별로 살펴보면, 중증 응급환자로 분류되고 있는 ‘심근경색, 출혈성 뇌졸중, 허혈성 뇌졸중, 중증외상’
모든 환자의 적정 시간 내 응급실 미도착 비율이 지난 5년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.
특히 “중증외상환자”의 경우 적정 시간 내 응급실 미도착 비율이 2018년 48.5%에서 2022년 56.5%로 약 8%p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.
“지난 3월 보건복지부는 제4차 응급의료 기본계획을 통해 ‘응급의료서비스의 재도약으로 전국 어디서나 최종치료까지 책임지겠다’고 발표한 바 있다. 중증 응급환자가 적정 시간 내에 응급실에 도착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대안을 마련하여 조속히 시행하기 바란다.”고 밝혔다.
헬스인뉴스(http://www.healthinnews.co.kr)